함양군수 조규순 (趙奎淳) 사적

조두순(趙斗淳, 1796년 ~ 1870년)

조태순(趙台淳, 1798~?)

조규순(趙奎淳, 1799~?) 기미년1859철10回甲, 무진년1868고5古希加資嘉義

<내용> 趙斗淳의 동생인 조태순(趙台淳) 선생 丙子年 간찰
<크기> 45×32cm
<참고> 조태순(趙台淳, 1798 ~ ?)

19세 때인 순조(純祖) 16년 (1816) 병자(丙子)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三等) 46위, 철종(哲宗) 1년(1850) 경술(庚戌) 증광시(增廣試) ,
本貫 楊州, 字 元三, 거주지 京, [부] 조진우(趙鎭愚) 학생(學生), [생부] 조진익(趙鎭翼) 행남원현감(行南原縣監) 품계 통훈대부(通訓大夫), [형] 조두순(趙斗淳), [제] 조규순(趙奎淳)
 

心庵遺稿卷之二十九 원문이미지 
확대 원래대로 축소
 
遠眺亭記 a_307_582d
[UCI]G001+KR03-KC.121115.D0.kc_mm_a625_av029_01_009: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家仲元三。爲順安之四年。以書來曰。由縣署而北幾百弓。舊有亭焉。今圮矣。謀所以新之。更其名曰遠眺。亭之西。霳然而阜。可以肄韎韐决拾之秇。命曰虎發之臺。不審可否。余曰。是有說焉。居高明而遠眺望。君307_583a子所以順時令也。鄕射之禮。不講久矣。苟因是而立德行興敎讓。若傳記所稱。不亦可乎。然縣甫經大侵矣。汚편001其盡闢。而保抱携持者。其咸集否。時絀擧贏。前志所誡也。仲曰。弟攝乏尹。玆有年所矣。而興滯補敝。蔑有聞焉。惟是飾次舍。繕夷毁。亦單襄公之觀爲政也。且民吏之所樂趍。而布政公旣許之。以筆其額而述其事。夫是役也。而如吾兄言。奚望乎其下順而上獲也。余曰。然。布政之政。有繩有尺。分刌踰越。不得統內之事。猶己事也。吾知其不知其不必爲而爲之。佽而相之也審矣。然余聞之。潘孟陽之飮酒遊山。李307_583b遠之長夏一局碁。未始不自托於簡易淸凈之義。而卒不免於弛廢隳曠者。志有所偏繫。力有所不周而然也。今登是亭而頫原野耘耔之勞。涉是臺而稽揖升綢繆之功。不亶爲燕居游息之具。則未可謂之無所助於其間也。若夫山川憑矚之曠。四時光景之變。余以四牡之役。匪不屢於縣宿。而今無以懸度而槪論之。布政之文。當有以詳之也。布政。游觀金侍郞興根氏也。元三楊州趙台淳也。元三之兄。心庵斗淳也。

心庵遺稿卷之二十三 원문이미지 
확대 원래대로 축소
 墓表
先府君墓表 乙卯 a_307_473c
[UCI]G001+KR03-KC.121115.D0.kc_mm_a625_av023_02_006: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府君諱鎭翼。字士顯。我楊州之趙。自高麗判院事諱岑始。有諱末生。寶文閣大提學。諡文剛。事我太宗。高祖右議政。謚忠翼。諱泰采。景宗辛丑。殉建儲。曾祖都正諱鼎彬。祖考副正諱榮克。贈吏判。考縣監諱宗喆。贈左贊成。妣安東金氏。承旨文行女。文康公昌翕曾孫。府君以英宗壬午七月二十六日生。配潘南朴氏。右議政忠憲公宗岳女。正宗己酉生員。純宗辛酉健元陵參奉。內而司甕院奉事。內307_473d資寺直長。司宰監主簿。刑曹佐郞。而正郞者再。翊衛司翊衛。司憲府監察。外而恩津縣監。陜川郡守。南原縣監。陞府使。連山縣監。平壤府庶尹。晉州牧使。丁亥九月十八日。考終于晉之官次。始葬洪州化城。祖考山右麓。己丑。緬祔于同州興口香面巳坐原先妣墓。累贈至領議政。先妣貞敬夫人。自判書府君以下。以不肖斗淳榮也。嗚呼。府君棄不肖輩。垂三十年。墓道顯刻尙闕焉。究其至慟所結轖。政歐陽文忠所謂非敢緩也。有所待也。府君事大夫人服勤順承。可以供悅豫者。極其至。始休弟若妹爲七人。自夫嫁娶衣307_474a食醫藥。身自辦理。季妹金夫人。家貧且無子。爲大夫人最憐恤。每雨風暑寒。府君輒念之不置。待府君而後擧火。汔始終惟一。祭祀滌濯。戒飭如不及。祖考忌。不肉爲三日。不肖輩䂓所以勉回。府君曰。不如此。無以誨若輩。時春秋爲六十五矣。性魁直截。意所不可。不爲之少骩且詘。喜施予。遇有物。先思可周者。罄之後已。故於州郡。旣屢典而㱕。輒匱空。酒後。慷慨論古今治亂得失。人士名義出處。不啻若身處而目擊之。雅不以文詞自命。而類非經生學子所可及。爲治上寬大安民吏在恩也。歲大侵。廩粟直幾二千錢。蠲307_474b之率常俸曰。乘射之利。賈道也。在連也。賊有㥘士女不遂。倡誣衊說。女至自裁。旣閱實。立斃賊。司臬者始惑而終大折服。自志學之初。遭門戶有事。佗傺迍邅於竆峒遐澨且半世。其於族親婣黨。酸醎所不齊。志事計慮所舛盭。一切忠恕之。是以儀宇恒和泰怡曠。水流而氷釋。於賢不肖無間然。曁不肖之忝文纓也。憂其或鱗甲自用。誨勖之辭。溢於牘。嗚呼。世有知吾先人乎哉。知固無待乎人矣。其謂知吾先人者。皆淺之爲知也。不肖今操筆綴蔀蔽之思。而苟圭撮浮溢不第匪先人之志。豈遂乏立言者。而必不肖之爲乎。307_474c先妣以純宗壬申卒。壽五十三。其事吾祖妣也。誠敬若獻贄初。垂四十年如一日。於物泊然無忮求。雖荊布蔬糲。必安之。險阻艱難之旣備嘗。而溫和祥順之氣。無適而不有孚且格。嗚呼。此外內宗당尙+방阜之言也。子斗淳文科。今右議政。台淳文科參判。出爲從叔父后。奎淳今牧使。女進士李。斗淳以台淳子秉集爲子進士。女洪鍾學進士。台淳子秉立前縣監。女李承紀,申泰榮。奎淳子秉燮今敎官。秉協今檢校待敎。庶女李容一。金炳怡子幼。

정해 1827(순조 27)

1853년(철종 4)우의정

 

心庵遺稿卷之二十一 원문이미지 
확대 원래대로 축소
 祭文
松洞山所告由文 a_307_438b
[UCI]G001+KR03-KC.121115.D0.kc_mm_a625_av021_01_013: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前歲辛丑。以英廟建儲二回舊甲。旣再蒙恩侑。今遇是年。遺裔慟慕。百有二十。年如一日。謹以淸酌庶羞。來汛塋宇。五代孫敎淳。以牙山縣監。奎淳以泰仁縣監。幷偕至將禮。用伸虔告謹告。

 

心庵遺稿卷之二十一 원문이미지 
확대 원래대로 축소
 祭文
祭仲父文 a_307_431a
[UCI]G001+KR03-KC.121115.D0.kc_mm_a625_av021_01_002: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維歲辛巳仲秋。西沴甚鋌。蔓于漢師。我仲父愼庵公。以是月辛丑。考終于寢。將以十月之壬午。卽遠于楊307_431b州之柳峴。前七日乙亥。從子斗淳,台淳,奎淳等。略綴悲苦之辭。哭告于靈筵曰。嗚呼。仲父於吾家赫舃之際。儀觀明秀。器度沉靜。父兄長老。皆以遠大器之。不幸甫離髫髧。遭家多難。流離湖海魚蝦之濱。吾祖考以魁梧卓犖之姿。猶且阨窮悲悶。以終其世。嗚呼。尙何言哉。仲父亦以此自放。淸羸早白。形貌枯槁而自十數年來。門戶粗成。蔭祿延世。竊自以爲天道好還。否終有泰。以吾祖考未艾於身者。施于吾諸父兄。庶幾有豊亨豫大之吉焉。然仲父與物無競。好靜惡囂。其於榮利進取。泊如也。而猶常語小子輩曰。余今頭307_431c髮種種。庸詎以一宦得失。榮戚吾哉。良以家世受恩。不欲於吾身斬焉耳。但恐歲年。不吾與也。小子其志之。又曰。借不獲此。使吾有溪山小築。種秫養魚。柵有雞豚。而圃有韮薤。左顧右對。嬉詠太平。以老天年。亦吾生平樂也。小子又志之。又曰。吾夜拜先妣。書不肖背曰。汝百歲。余泣而覺。玆何祥也。小子其又書而志之。嗚呼。盖嘗徐究乎。仲父所志所欲得者。非干祿也。所欲居者。非遯跡也。吾祖妣之錫齡又如此。則天於此三者。其必有以餉公也。而乃名不霑一命。處不離闤闠。壽不踰半百。嗚呼斯豈命歟。天亦奚於公。嗇而307_431d不豊至斯也。仲父天性寬厚。無畦畛城府。視世之以皎潔自喜。辯說捷給者。不翅若己病。而尤厭處紛華。蹙然不寧。是其晩年居靜之謀也。嗚呼。公有內治如吾仲母。有幹蠱如吾從兄。其於斗升筦籥之勞。未嘗一日嬰懷。及乎大㱕之日。男執事乎外。女執位乎內。家道大立。嶄然有序。神相哀孝。幽宅逢吉。嗚呼。事其永無憾也歟。嗚呼。小子輩由孩及冠。曾不一日違左右。今爲二十有餘年。而自學語識字。何莫非仲父賜也。訖無一事。仰報至愛。而今焉永隔。模楷仰成無所。寃酷痛苦。不知所以爲命矣。星淳年長未娶。又多病307_432a學遅。所嘗垂矜而齎憂者也。人之成就。自有早晩。提携誨飭。小子輩在。豈不仰承平日之志也。嗚呼哀哉。

 

心庵遺稿卷之三十 원문이미지 
확대 원래대로 축소
 
平養譜跋 a_307_601a
[UCI]G001+KR03-KC.121115.D0.kc_mm_a625_av030_01_001: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樂居六藝之一。而君子無故。不去琴瑟。苟爲之者。得其廉肉捭闔之正。不爲浸淫靡曼所日梏。則洵亦陶寫情性。宣鬯湮欝之一竗用也。吾弟元五學操琴十有年。其幽情奧悟。有廢之而不可能者。乃與林君學汝之審於聲者。集衆響而譜之。朱綠而區之。若投壺之魯薛鼓圖。轉變而翻之。如太玄之方州部家。顧余瞶於此。固無以窺其踈密。而槪亦用意至深巧耳。書307_601b成。詢余所以名之者。歐陽永叔之言曰。欲平其心。以養其疢。於琴。亦將有得。夫善病。孰有猶吾兄弟者。使吾弟沿是譜。而益騖其探本㱕源之學。如嵇叔夜所云。器洽絃調。心閑手敏。風晨月夕。與之周旋於聯床對榻之下。而吾得以卧而聽之。相與迎灝氣之冲漠。謝沉疴之恅愺。則此君子所以不去之義也。余故命之以平養而復之。

권30은 跋 15편, 上樑文 9편, 雜著 7편이다. 발로는 季弟 趙奎淳이 지은 거문고의 악보인 「平養譜」와 朴汝龍의 문집인 「松崖集」, 朴淳의 문집인 「思菴集」에 쓴 것이 있고, 이외에 「璿源譜略」에 대한 발이 4편이나 되는 것이 특이하다.

 

心庵遺稿卷之二十九

원문이미지 
확대 원래대로 축소
 
披香亭記 a_307_593a
[UCI]G001+KR03-KC.121115.D0.kc_mm_a625_av029_01_029: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適人國而叔孫婼。必葺其墻屋。傳舍居而郭有道。敎人知昨宿處。古人所以不苟其行。敬勤以自率。有如此者。繇是觀之。守官者之於署廨臺舘池沼。廢興非小事。君子覘其政焉。裨諶適野之謀。豈潘孟陽飮酒遊山之具而已哉。泰仁。湖南選地。而披香亭者。名亭307_593b也。吾弟元五景遠。相繼尹于玆。不佞於此。聞之最熟。而特未獲覽觀爲怦怦。李侯承敬氏書來曰。亭屢圮矣。而今新之矣。遂備述文獻所載錄者。遺之。此古人所用心也。况守於所官乎。昔不佞持節海西也。日起居飮食宴處于營中水榭。每夏秋之嬗。萬芙蕖的皪不見地。夜靜月午。幽馥騰鼻。觀未嘗不樂之。而地坎埳無登高望曠之助。深有慨乎造物者之無全功。是亭則據官道左。屛逼隘匝遝之陋。而塽塏通豁。芥荳之容。畢於呈露。侯以名家通儒。讀書劬躬。悉心所職。時與邑父老。觴豆於玆。頌屢豊之慶。而樂與民共之。307_593c顧不佞匏繫陸陸。遊跡之不及遍滋可恨也。嗚呼。是邑吾所未可忘也。而景遠之墓草已宿。其亦奚忍也歟。

 

心庵遺稿卷之二十九 원문이미지 
확대 원래대로 축소
 
牛坡讀書記 a_307_578a
[UCI]G001+KR03-KC.121115.D0.kc_mm_a625_av029_01_001: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惟一月癸亥哉生魄越翌日己卯。余將往牛坡讀書。崇朝下雪。及跨驢出門。風靜山暗。瓊糜玉碎。及出郭。巾袖若重兜鎧。而銀縫玉袷。橫縱成文。故不拂也。驢蹄瀏滑。欲顚倒。短僕噤不能語也。西行十里到津。曾氷承雪。屭贔無際。若四十里白錦障。比之春夏間風濤。上下帆檣欹側。更可愛也。仍捨騎從氷輪渡。步步遫遫。若琉璃碎也。行可百許弓。登彼岸。不及半許里。307_578b雪小霽。風因大作。大雪復從地上起。盖風力所掀。翻甚壯猛也。由此而前行東南十許里。又折而越小徑。踰一峴而始到焉。先是元三元五。出寓而讀。蔡生天欽伴之。適有事㱕。權生聖汝代之。及余入門也。讀聲方琅也。樓爲益淸。庭可百人容。庭盡而有小池。種蓮三五十本。中築小島。竪一茅亭。曰愛蓮。登是而界始豁。水田泱。塍鏤澮刻。西北控大道。羣巒立立。東有洞口。篆于古巖。曰牛坡洞。是皆我二憂先祖所卜築。巖篆亦手澤。居人至今號相公宅。嗚呼。自相度此土之初。俯仰百有餘年。而海爲田屢矣。而室堂臺沼307_578c顧自在。有以仰見古昔。人宏遠之規。而藐不肖如吾者。亦有肯搆之責焉。苟能守遺矩。服菑訓。無或瓦墁난001則幸矣。夜甚憊早眠。翼朝始讀書傳。第十編。日以一編爲課。元三元五。幷讀鄒書。權生亦如之。率一婢來。用以供朝夕炊。村蔬野菹。俱可味也。遂述其事。以諗于後。


[난-001]瓦墁 : 毁瓦劃墁而今文或有抉摘法而此宜更攷

 

心庵遺稿卷之九 원문이미지 
확대 원래대로 축소
 
元五回甲日。命秉學拈韻。 a_307_221a
[UCI]G001+KR03-KC.121115.D0.kc_mm_a625_av009_01_007: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淸和四月好天時。嘉樹繁陰子滿枝。兄弟偶然相及老。歲年重得此云遅。刀圭舊課功應至。珩黻新榮愧可知。是日與歡饒百感。鼎虧一足欲何爲

기미년1859철10

 

心庵遺稿卷之五 원문이미지 
확대 원래대로 축소
 
到醴泉。家弟義城使君 台淳 來會。 a_307_129b
[UCI]G001+KR03-KC.121115.D0.kc_mm_a625_av005_01_069: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我豈輕于役。人應羡此逢。連年仍使命。百里是侯封。共勉涓埃報。相看老大容。長程無恙否。阿季且來從。元五當以廿四發向義城。


한국학자료센터

http://kostma.net/

조규순

http://kostma.net/FamilyTree/PersonView.aspx?personid=pd051339&person_uci=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SA_6JOc_1831_030505

조규순(趙奎淳)

[진사시] 순조(純祖) 31년(183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16위(46/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70ADDCC21CB1799X0
원오(元五)
생년 기미(己未) 1799년(정조 23)
합격연령 33세
본관 양주(楊州)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전력 유학(幼學)
과목 이시(二詩)
부모구존 영감하(永感下)

[가족사항]

 
[부]
성명 : 조진익(趙鎭翼)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진주목사(晉州牧使)
[안항:형]

[출전]

『숭정기원후4신묘식사마방목(崇禎紀元後四辛卯式司馬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6 (1831) FOLIO])


조규순(趙奎淳)

[음관] 음안(蔭案)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70ADDCC21CB1799X0
원오(元五)
생년 기미(己未) 1799년(정조 23)
본관 양주(楊州)

[이력사항]

관직 정유(丁酉) 5월(五月) 남도(南都)
관직 기해(己亥) 12월(十二月) 옹주복주(饔主僕主)
관직 경자(庚子) 12월(十二月) 용판(用判)
관직 1841헌7신축(辛丑) 8월(八月) 태인(泰仁)
관직 1845헌11을사(乙巳) 5월(五月) 함양(咸陽)
관직 1849철0기유(己酉) 6월(六月) 장흥(長興)
관직 기유(己酉) 12월(十二月) 무안물구(務安勿拘)
관직 신해(辛亥) 4월(四月) 수판(水判)
관직 계축(癸丑) 2월(二月) 재녕환(載寧換)
관직 1855철6을묘(乙卯) 4월(四月) 황주(黃州)
관직 병진(丙辰) 1월(正月) 군정개(軍正改)
관직 병진(丙辰) 11월(十一月) 연주통정(筵奏通政)
관직 병진(丙辰) 12월(十二月) 승지신통첨중동부승허(承旨新通僉中同副承許)
관직 무오(戊午) 12월(十二月) 특선형참호참(特善刑參戶參)
관직 1859철10기미(己未) 5월(五月) 동금(同禁)
관직 1868고5무진(戊辰) 1월(正月) 연70시종신부가의(年七十侍從臣父嘉義)
타과 신묘(辛卯) 진사(進士)

[가족사항]

 

[출전]

『음안(蔭案)』天‧地‧人(장서각[K2-575])상세정보

 


http://e-kyujanggak.snu.ac.kr/COM/COM_FINDMANY.jsp?totalcnt=34&resetid=138182&find=ILS&textfield=%E8%B6%99%E5%A5%8E%E6%B7%B3&stype=1

    일성록  [결과 : 34 건 ]

    1. 헌종 3년 5월 17일 에서 : ... 金基石爲掌令鄭錫麟金重夏爲持平韓啓源爲獻納沈升澤宋柱獻爲正言朴岐壽爲判義禁 趙奎淳爲南部都事...
    2. 헌종 5년 12월 10일 에서 : 拿處中部令沈淳祖南部都事 趙奎淳重推左捕將任聖皐右捕將具信喜推判尹朴綺壽 備局...
    3. 헌종 5년 12월 13일 에서 : ...摘奸出送門外而籌司摘奸適在未及盡出之際至有現發都是渠不職之罪云南部都事 趙奎淳原情以爲僵屍有無門內則...
    4. 헌종 5년 12월 17일 에서 : ...減一等又啓言韓應浩鉛丸備充屬邑擧行則矇不覺察容或有說而戎器甚重失誤亦罪又啓言沈淳祖 趙奎淳凍殍未卽...
    5. 헌종 5년 12월 18일 에서 : ...忠淸前兵使韓應浩中部令沈淳祖南部都事 趙奎淳等照律各笞五十收贖解見任別敍竝私罪施行允之敎以竝...
    6. 헌종 7년 8월 5일 에서 : ...鍏爲同經筵李在稼爲淸州牧使任奭朝爲義城縣令 趙奎淳爲泰仁縣監金履載爲分內醫提調李KYIL004...
    7. 헌종 8년 8월 17일 에서 : ...剩雖歸謫客謗言都萃該倅賣鄕錢四百兩之或爲官用或歸冊客各招皆有所據泰仁縣監 趙奎淳還穀則精捧需米則減價...
    8. 헌종 11년 5월 3일 에서 : ...政以朴顯圭爲海州判官○四政以趙然明爲長興府使○五政以趙奎淳爲咸陽郡守○六政以曺錫弼爲泰仁縣監
    9. 철종 0년 6월 17일 에서 : 以金箕絢爲尙州牧使 趙奎淳爲長興府使趙秉璿爲溫陽郡守林鎭璜爲牙山縣監安膺壽爲南平縣監口傳也
    10. 철종 0년 12월 26일 에서 : ...秋尹行福尹堉接慰官單付閔景鎬爲長水察訪曺祥麟爲重林察訪李羲書爲江陵府使 趙奎淳爲務安縣監 ...
    11. 철종 1년1850년 3월 28일 에서 : ...多淹滯軍伍則輒稱充額而或有侵撓咸陽郡守趙基亨聽訟則捷於剖決勸課則勤於考試前郡守 趙奎淳庫儲常羡胥奸...

慶尙右道暗行御史 曺錫輿進書啓別單

庫儲常羡.胥奸咸戢.聽理如神.捧糴至精.輿情去愈追思.
    12. 철종 2년 4월 10일 에서 : ...元和毁掇紙砧惠及山僧蠲減魚物頌遍海夫務安縣監 趙奎淳律己自重處事甚明捧稅之時枰木至及於升KYIL00...
    13. 철종 2년 4월 13일 에서 : ...爲京畿水使洪大恒爲法聖僉使○再政以李昌在爲瑞興府使 趙奎淳爲水原判官李肇淵爲慶尙左兵使○三政以金...
    14. 철종 3년 2월 26일 에서 : ...大祝副修撰洪在重加資兼提調水原留守徐英淳內下虎皮一令賜給兼令水原判官 趙奎淳陞敍兼衛將水...
    15. 철종 4년 2월 6일 에서 : 命載寧縣監金炳地水原判官 趙奎淳相換
    16. 철종 6년 4월 20일 에서 : ...道爲副總管○再政以吳取善爲同春秋沈明奎爲平壤庶尹○三政以趙奎淳爲黃州牧使○敎曰載寧縣監之代副司果 ...
    17. 철종 7년 7월 15일 에서 : ...燈板打張莫夫當日致死甲寅十二月二十四日囚初檢官載寧縣監 趙奎淳檢狀實因以被打致死懸錄正犯以金學仁懸...
    18. 철종 7년 7월 24일 에서 : ... 鄭昌敎膝築李昌云右脇第九日致死乙卯二月初六日囚初檢官載寧縣監 趙奎淳檢狀實因以被築致死懸錄正犯以...
    19. 철종 7년 11월 20일 에서 : 行次對于熙政堂 予曰趙奎淳是前前右相之兄弟行乎左議政金KYIL005_0116_0045道喜...
    20. 철종 7년 11월 20일 에서 : 命趙奎年 趙奎淳 李時敏竝加資

    일성록  [결과 : 34 건 ]

    21. 철종 7년 11월 20일 에서 : 左議政金道喜啓言挽近蔭班進用非不濟濟而 此朝家奬吏治之政也前正趙奎年 趙奎淳 黃州牧使李時敏...
    22. 철종 7년 12월 27일 에서 : 遞承旨朴來萬以金炳駿代之尋遞炳駿以李鍾承代之尋遞鍾承以趙奎淳代之 敎曰左副承旨許遞前望單子入...
    23. 철종 7년 12월 27일 에서 : ...守金世鎬爲承旨 徐相岳李敎俊李鍾承鄭天和徐衡淳李鍾浩成載瑗趙奎年 趙奎淳竝新通也 ...
    24. 철종 7년 12월 28일 에서 : 遞承旨 趙奎淳以宋廷和代之 政院以奎淳在外啓請下諭敎以許遞前望單子入之KYIL005_011...
    25. 철종 8년 6월 13일 에서 : ...得情黃海監司金淵根狀啓以爲黃州許源鞭打金陽祿第九日致死丙辰正月初八日囚初檢官黃州前牧使 趙奎淳...
    26. 철종 8년 12월 11일 에서 : ...一境而擧稱三政已擧七事盡修實績爲全省之最前牧使 趙奎淳淸嚴之績著於隣邑寬弘之政孚于一境大都會征利之場...

黃海道暗行御史 李裕奭進書啓別單

淸嚴之績.著於隣邑.寬弘之政.孚于一境.大都會.征利之場.奸猾竝皆縮首.山海間.灌漑之地.小民咸蒙其利.訟決尙稱公平.措處實賴得宜.
    27. 철종 9년 11월 10일 에서 : ...更不得進反有積滯之歎資歷久次中副護軍宋宗洙鄭憲容李昌在 趙奎淳特加一資前正李絅愚徐有喬治績年...
    28. 철종 9년 11월 13일 에서 : ...副校理趙翼東李世宰爲修撰洪承裕爲副修撰 趙奎淳爲刑曹參判金元植爲左尹宋宗洙爲右尹鄭憲容爲...
    29. 철종 9년 11월 23일 에서 : 遞刑曹參判 趙奎淳 參議徐有喬以李昌在趙雲卿代之 敎曰在外未肅拜秋曹堂上許遞前望單子入之
    30. 철종 9년 12월 28일 에서 : ...校理李世宰鄭海崙爲副校理鄭基勉爲修撰金宗泰爲副修撰 趙奎淳爲戶曹參判李㘾爲同義禁金ટ根爲...
    31. 철종 10년 1월 4일 에서 : 遞總管 趙奎淳以兪章煥代之 敎曰呈告總管許遞前望單子入之KYIL005_0156_0029
    32. 철종 10년 1월 13일 에서 : 遞戶曹參判 趙奎淳 呈辭也
    33. 철종 10년 5월 7일 에서 : 有政吏曹判書南秉哲兵曹判書金炳學進 以李九翼爲應敎 趙奎淳爲同義禁孫亮漢爲茂山府使...
    34. 철종 10년 5월 17일 에서 : ...副修撰金琦鉉申轍求判義禁洪鍾應同義禁金益文 趙奎淳 申錫禧右尹金漢淳.


국역비변사등록 243책  >   철종 7년 11월  >   左議政 金道喜가 입시하여 老衰하여 직무를 감당할 수 없는 자신을 遞差하는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함/擇守令嚴殿最, 懲貪墨, 節財用, 松禁, 陵役時結所挪貸錢, 輦路犯入田畓減稅(1856-11-21(음))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bb_243r_001_11_0150

 

국역비변사등록 239책  >   철종 3년 10월  >   守令別薦單子을 써서 들인다는 備邊司의 啓와 그 別單(1852-10-22(음))

기사제목 守令別薦單子을 써서 들인다는 備邊司의 啓와 그 別單  
연월일 철종 3년 1852년 10월22일(음)
수원판관(水原判官) 조규순(趙奎淳)

 

철종 7년 1856년 11월21일(음)

또 아뢰기를
“근래에 음반(蔭班)을 등용하는 것이 많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만, 이것은 조정에서 수령의 치적을 장려하는 정사(政事)입니다. 전 정(前正) 조규년(趙奎年)·조규순(趙奎淳)과 황주목사(黃州牧使) 이시민(李時敏)은 전후(前後)로 주군(州郡)에서 명성과 치적이 뛰어나니, 모두 특별히 한 자급을 가자(加資)하겠습니다. 이시민은 이미 정식의 의망(擬望)을 통과하였으니, 비록 아직 서경(署經)을 거치지는 못했으나, 한두 가지의 가까운 사례에 의거하여 좌이(佐貳) 024 와 승지(承旨)가 일체로 검의(檢擬)하도록 전조(銓曹)에 분부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임금이 그리하라 하였다.


비변사등록 249책  >   철종 13년 2월  >   金東獻에게 江華府留守를 제수함(1862-02-25(음))

기사제목 金東獻에게 江華府留守를 제수함  
연월일 철종 13년 1862년 02월25일(음)
江華府留守議薦 李明迪內遷代
領敦寧府事 洪 不薦
領敦寧府事 金 不薦
行判中樞府事 金 不薦
兼水原府留守 金 還營
行知中樞府事 金 不薦
行兵曹判書 尹 不薦
行刑曹判書 李 不薦
行廣州府留守 南 不薦
判敦寧府事 金 不薦
行上護軍 洪 不薦
行上護軍 趙 不薦
行上護軍 徐 不薦
行上護軍 洪 不薦
行吏曹判書 金 不薦
行議政府左參贊 鄭 不薦
守判中樞府事 李 奉命出疆
守判中樞府事 徐 奉命出疆
行上護軍 徐 不薦
行大護軍 金 在外
行大護軍 韓 在外
行大護軍 南 不薦
工曹判書 朴 不薦
行大護軍 李 不薦
行大護軍 任 不薦
漢城府判尹 申 不薦
行大護軍 李 不薦
知中樞府事 李 不薦
禮曹判書 韓 不薦
行大護軍 趙 林永洙 趙秉恒 金穰根
行大護軍 沈 不薦
議政府右參贊 金 不薦
守判中樞府事 李 奉命出疆
行大護軍 洪 不薦
行大護軍 申 不薦
行大護軍 金 不薦
行大護軍 南 不薦
兼知訓鍊院事 李 不薦
行護軍 許 不薦
行護軍 金 不薦
工曹參判 金 不薦
戶曹參判 金 不薦
開城府留守 金 在外
備望 ○金東獻 鄭憲容 趙奎淳


국역비변사등록 250책  >   철종 14년1863계해 11월  >   鄭憲容에게 江華府留守를 제수함(1863-11-22(음))

기사제목 鄭憲容에게 江華府留守를 제수함  
연월일 철종 14년 1863년 11월22일(음)
강화부유수 의천(江華府留守議薦) : 내직으로 옮겨간 홍원섭(洪遠燮)의 후임
행판중추부사 김병기(金炳冀) : 천거하지 않음
행지중추부사 김병국(金炳國) : 천거하지 않음
행지중추부사 김병학(金炳學) : 천거하지 않음
겸형조판서 홍재철(洪在喆) : 천거하지 않음
행지중추부사 윤치수(尹致秀) : 천거하지 않음
행의정부좌참찬 김보근(金輔根) : 천거하지 않음
행상호군 이돈영(李敦榮) : 천거하지 않음
행상호군 이경재(李景在) : 천거하지 않음
행상호군 김학성(金學性) : 천거하지 않음
판돈녕부사 정기세(鄭基世) : 천거하지 않음
행상호군 홍종응(洪鍾應) : 천거하지 않음
행상호군 김대근(金大根) : 천거하지 않음
행의정부우참찬 조득림(趙得林) : 천거하지 않음
행이조판서 홍열모(洪說謨) : 천거하지 않음
행상호군 김병교(金炳喬) : 천거하지 않음
행지돈녕부사 윤치정(尹致定) : 천거하지 않음
행병조판서 서대순(徐戴淳) : 천거하지 않음
행대호군 김기만(金箕晩) : 지방에 있음
행대호군 남헌교(南獻敎) : 천거하지 않음
행대호군 조휘림(趙徽林) : 천거하지 않음
행대호군 이우(李㘾) : 천거하지 않음
행대호군 조석우(曺錫雨) : 천거하지 않음
수판중추부사 조연창(趙然昌) : 명을 받들고 지방에 있음
행대호군 신석우(申錫愚) : 천거하지 않음
행대호군 이근우(李根友) : 천거하지 않음
행대호군 임백경(任百經) : 천거하지 않음
행대호군 유장환(兪章煥) : 지방에 있음
행대호군 이인고(李寅皐) : 천거하지 않음
행대호군 김병운(金炳雲) : 천거하지 않음
행대호군 심의면(沈宜冕) : 천거하지 않음
예조판서 김병덕(金炳德) : 천거하지 않음
광주부유수 이원명(李源命) : 영으로 돌아감
행대호군 홍우길(洪祐吉) : 조계승(趙啓昇)·유후조(柳厚祚)·송응룡(宋應龍)
행대호군 신석희(申錫禧) : 천거하지 않음
행대호군 김병주(金炳㴤) : 천거하지 않음
수원부유수 남병길(南秉吉) : 천거하지 않음
행대호군 송근수(宋近洙) : 지방에 있음
행대호군 김응균(金應均) : 천거하지 않음
행대호군 임백수(任百秀) : 천거하지 않음
행대호군 이의익(李宜翼) : 천거하지 않음
남릉군(南綾君) 홍종서(洪鍾序) : 천거하지 않음
행호군 이유응(李裕膺) : 천거하지 않음
행호군 허계(許棨) : 천거하지 않음
행호군 임태영(任泰瑛) : 천거하지 않음
동지중추부사 김영작(金永爵) : 천거하지 않음
개성부유수(開城府留守) 김익진(金翊鎭) : 천거하지 않음
행호군 이삼현(李參鉉) : 천거하지 않음
행호군 김보현(金輔鉉) : 최우형(崔遇亨)·남성교(南性敎)·이승보(李承輔)
행호군 김병지(金炳地) : 천거하지 않음
비망 :◯정헌용(鄭憲容)·김재성(金在成)·조규순(趙奎淳)

일성록 철종 9년
저자
날짜
1858-12-28(음)

분류
고도서 > 사부(史部) > 편년류(編年類)

제공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일성록 철종 10년
    저자
    날짜
    1859-01-04(음)

    분류
    고도서 > 사부(史部) > 편년류(編年類)

    제공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상위서지
    일성록 철종 10년
    저자
    날짜
    1859-01-13(음)

    분류
    고도서 > 사부(史部) > 편년류(編年類)

    제공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有政 吏曹判書 南秉哲 兵曹判書 金炳學 進  
    李九翼應敎 趙奎淳同義禁
     
    일성록 철종 10년
    저자
    날짜
    1859-05-07(음)

    분류
    고도서 > 사부(史部) > 편년류(編年類)

    제공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책번호 12814_0145 왕명 헌종 재위년도 11 분책정보
    날짜 1845 년 5 월 3 일 연간지 을사 일간지 계해 양력

    ○五政以趙奎淳咸陽郡守

  • 有政 吏曹判書 朴永元 參議 李㙽 兵曹判書 趙冀永 進  

    일성록 헌종 11년

    저자

    날짜

    1845-05-03(음)


    분류
    고도서 > 사부(史部) > 편년류(編年類)

    제공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以 金箕絢 爲 尙州牧使, 趙奎淳 爲 長興府使 趙秉璿 爲 溫陽郡守 林鎭璜 爲 牙山縣監 安膺壽 爲 南平縣監 口傳也  상위서지

      일성록 철종 0년

      저자

      날짜

      1849-06-17(음)


      분류
      고도서 > 사부(史部) > 편년류(編年類)

      제공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번호 12815_0008 왕명 철종 재위년도 0 분책정보
    날짜 1849 년 12 월 26 일 연간지 기유 일간지 기축 양력

    趙奎淳務安縣監


    책번호 12815_0029 왕명 철종 재위년도 2 분책정보
    날짜 1851 년 4 월 13 일 연간지 신해 일간지 기사 양력

    趙奎淳水原判官


  • 命 載寧縣監 金炳地 水原判官 趙奎淳 相換  

    일성록 철종 4년

    저자

    날짜

    1853-02-06(음)


    분류
    고도서 > 사부(史部) > 편년류(編年類)

    제공
    규장각한국학연구원상위서지
  •  


    책번호 12815_0094 왕명 철종 재위년도 6 분책정보
    날짜 1855 년 4 월 20 일 연간지 을묘 일간지 임자 양력

    ○三政以趙奎淳黃州牧使


    책번호 12815_0111 왕명 철종 재위년도 7 분책정보
    날짜 1856 년 7 월 15 일 연간지 병진 일간지 경오 양력
    黃海監司 金在淸狀啓以爲載寧 金學仁以燈板打張莫夫當日致死甲寅1854철5十二月二十四日囚初檢官 載寧縣監 趙奎淳檢狀實因以被打致死懸錄正犯以金學仁懸錄覆檢官 文化縣監 李憲度檢狀實因正犯與初檢同此獄則短檠以打壯漢遽殞傍證同招兇身自服三章至嚴一無可原
    책번호 12815_0111 왕명 철종 재위년도 7 분책정보
    날짜 1856 년 7 월 24 일 연간지 병진 일간지 기묘 양력

    黃海監司 金淵根狀啓以爲載寧 鄭昌敎膝築李昌云右脇第九日致死乙卯二月初六日囚初檢官 載寧縣監 趙奎淳檢狀實因以被築致死懸錄正犯以鄭昌敎懸錄覆檢官 文化縣監 李憲度檢狀實因正犯與初檢同此獄則傷痕狼藉證參昭在連呼三盃濁醪輒增一番麤氣執䯻而揮擲跨胸而築踏此所謂以必殺之心行必殺之擧訊推取服恐不可已


    승정원일기 고종 5년 1월 2일 (신해) 원본2722책/탈초본128책 (21/26)
    1868년 同治(淸/穆宗) 7년

    護軍趙奎淳, 侍從臣趙秉協父, 前府使李圭容, 侍從臣李鍾鳳父, 已上今加嘉善。


     
    파랑새는 산을 넘고, 2008.10.20. 표제어 전체보기
     

    저자 이이화|김영사 |2008.10.24

    페이지 315|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34932024

     

    역사학자 이이화의『인물로 읽는 한국사』시리즈. 고대부터 현대까지 한국사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을 통해 역사를 새롭게 접할 수 있도록 구성한 책이다. 역사 속에 묻혀 있던 인물들을 발굴하고, 잘 알려진 인물들은 오늘의 관점에서 재평가하였다. 제왕, 혁명가, 종교가, 사상가, 독립운동가, 라이벌과 동반자 등 한국사의 다양한 인물들을 만날 수 있다.

    다섯 번째 <진리는 다르지 않다>에서는 동학농민혁명 지도자 29인의 내력을 담았다. 이들의 삶을 찾아 이들이 걸은 고난의 역정을 더듬어 보면서 그들의 한과 회한을 맛보게 된다. 자료와 증언을 차분하면서도 진지하게 전개하면서 그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 본다.

    이이화 이미지
    저자

    이이화()

    지은이 이이화()는 1937년 『주역』의 대가인 야산() 이달()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이름 가운데 이()자는, 아버지가 『주역』 팔괘의 순서에 따라 아들들에게 이름을 지어주면서 이괘()에서 따온 글자이다. 『주역』의 이괘는 해와 불을 상징한다.

    어린 시절 아버지를 따라 대둔산에 들어가 종일토록 꿇어앉아 한학을 배우던 그는 열여섯 살에 집을 뛰쳐나와 부산과 광주 등지에서 혼자 힘으로 학교를 다녔다. 광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에 올라온 그는 서라벌예대 문예창작과에 들어가 김주영, 천승세, 이근배, 홍기삼과 떠들썩한 문학청년 시절을 보내던 중 한국학에 더 매력을 느껴 작가의 꿈을 접고 역사가의 길로 방향을 돌렸다.

    그는 지역갈등과 봉건적 신분질서를 타파하는 글을 주로 썼는데, 이를 통하여 우리 겨레의 고난의 민족사, 백성들의 자취가 짙게 밴 생활사, 압제를 받았던 민중사를 복원하는 데 힘을 쏟았다. 오늘의 관점에서 역사인물을 재평가하는 역사인물 연구도 정열을 기울인 분야이다. 그의 역사서술은 역사의 현재화와 역사의 대중화를 바탕에 깔고 있다. 요컨대 역사는 재미있고 쉬운 문체로 일반에게 다가가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된 생각이다.

    민족문화추진회, 서울대 규장각 등에 봉직하였고, 성심여대 등에서 역사학도들을 지도하였고, 서원대학교 석좌교수를 지냈니다. 특히 역사문제연구소 소장, 『역사비평』 편집인으로서 근현대사 연구를 위한 사업에 동참했으며, 동학농민전쟁 100주년 사업을 주도하였다. 현재는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과 고구려역사문화보전회 이사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전 22권의 방대한 분량으로 저술해낸 우리 나라 5천년의 통사『한국사 이야기』를 비롯해 『동학농민전쟁 인물열전』『이야기 한국 인물사』『조선후기 정치사상과 사회변동』『한국의 파벌』『허균』『우리 겨레의 전통생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리니』 등이 있으며, 편서로 『동학농민전쟁 사료총서』(30권)가 있다.

    또한, 우리나라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어떻게 고난을 겪었는지를 따져보는 역사책을 쉽게 풀어 써왔다. 그 결과 『한국사 이야기』 22권과 『만화 한국사』 10권 등을 펴냈다. 또 『찬란했던 700년 역사, 고구려』 『해동성국 발해』 『녹두장군 전봉준』 등 청소년의 읽을거리 책도 지었다.

     

    파랑새는 산을 넘고

    전창혁

    아들 전봉준에 저항의 혼을 대물림하다

     

    1. 농민봉기의 도화선이 되다

    동진강을 끼고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고, 서쪽으로는 바다에 닿아 어항이 발달한 전라도 고부군은 인근 고을 가운데서도 농업생산품과 해산물이 풍부한 곳이었다. 따라서 같은 수령이라 해도 이곳 군수 자리는 유난히 탐을 내는 자리였다. 보은과 원평을 대규모 동학 집회가 흔들고 간 1893년, 이 고부 땅에서 전봉준(全琫準, 1855년 ~ 1895년 4월 24일(음력 3월 30일))의 아버지 전창혁(, 1827~93)이 세상을 떴다. 그를 죽음으로 내몬 인물은 당시 고부군수 조병갑(1844~1912)이다.

    조병갑은 많은 고을 원들이 그랬듯 모진 수탈을 일삼는 위인이었다. 조세 따위를 핑계 대어 빼앗는 일말고도 불효를 했다거나 상피()붙었다거나 양반에게 대들었다는 따위의 굴레를 씌워 백성들을 갈취하기 일쑤였다. 수탈의 대상은 주로 재산가였다. 빈민보다도 토호나 중간층의 고통이 가증되었고 불만도 높았다.

    전창혁과 조병갑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전해진다. 그중 한 줄기는 조병갑이 어머니의 상을 당하는 데서 시작한다. 그는 상을 당하자 당시 관례대로 사직하고 고부를 떠난다. 이때에 조병갑의 하수인으로 아부를 일삼던 선비와 구실아치들은 돈 2천 냥을 거두어 부의를 내기로 하고, 그 책임을 이곳 향교의 장의를 맡고 있던 김성천과 그에 앞서 장의를 지낸 전창혁에게 맡긴다. 일단 돈을 거둔 뒤 김성천은 이를 모조리 쓰고 나서 “조병갑은 이 고을 군수로 있으면서 추호도 좋은 정치를 한 적이 없으며 기생 어머니의 죽음에 무슨 놈의 부의냐”고 큰소리를 쳐댔다.

    조병갑은 물산이 풍부한 고부가 그리워 다시 부임운동을 벌여 고부 고을 원이 되어 왔다. 그리고 이 사실을 알고 전창혁과 김성천을 잡아들이게 했다. 그러나 김성천은 이미 죽은 뒤였다. 홀로 잡혀 온 전창혁은 모진 매를 맞은 끝에 거의 죽음 직전에 이르러 내쫓겼다. 그는 관아에서 나온 뒤 한 달 만에 세상을 뜬다.(장봉선 『전봉준 실기』)

    고부관아터 전경

    고부관아터 전경 사진 중앙에 보이는 고부초등학교 자리가 고부관아터이다. 지금은 관아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이와 다른 이야기는 이러하다. 이 이야기는 고부 농민들의 앞장을 서서 동학 농민봉기의 도화선에 불을 댕긴 전창혁의 모습을 전한다. 조병갑은 동진강 상류 만석보 밑에 필요도 없는 보를 쌓으며 재산가들에게서는 경비를 거두어들이고 빈민들에게는 보수도 없이 일을 시켰다. 보를 쌓는 데 필요한 재목은 주변의 주민들 선산에서 마구 베어 왔다. 보를 쌓으면 오는 가을걷이 때 절대 수세를 물리지 않겠다고 약속하지만 이는 지켜지지 않는다.

    이에 고부의 많은 농민이 대대적인 집회를 갖고 등소(, 수령에게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건의하는 일)하기로 결의한다. 그들은 장두(, 대표)에 전창혁, 김도삼, 정일서 등 세 사람을 뽑고 그 수장두(우두머리)로 전창혁을 내세운다.

    등소를 받아 든 조병갑은 세 사람을 ‘난민’이라는 이름을 들씌워 잡아 가두고 다른 농민들은 몽둥이질을 해 쫓아 보낸다. 세 사람은 전주감영의 감옥에 갇혔다가 다시 고부 감옥으로 돌아오는데, 이들을 ‘엄하게 문초하라’는 조처가 내려진다. 세 사람은 또다시 모진 난장질을 당했고, 그러다 전창혁은 감옥에서 장독으로 죽는다.(오지영 『동학사』)

    2. 민중의식에서 빚어진 이야기의 숨은 진실

    어느 설이 옳은가를 예단하기 전에 여기서는 두 가지 사실을 밝혀둘 필요가 있다.

    첫째, 조병갑에 관련된 이야기이다. 앞의 『전봉준 실기』 등은 조병갑이 고종을 왕위에 앉힌 풍양 조씨 세도가의 딸 조대비의 친정 조카뻘이 된다고 기록했다. 그리고 조대비의 사촌으로 영의정을 지낸 조두순의 조카로서 태인 현감을 지낸 조규순이 기생첩에게 얻은 아들이라 했다.

    하지만 조두순이나 조규순은 한양(양주) 조씨로 조대비와는 혈연관계가 아니다. 조규순(1798~1846=48)은 조병갑이 태어난 지 2년 만에 죽다. 그는 아들 셋을 두었는데 조병갑은 막내였다. 이 막내아들이 서자였다는 기록은 어디에도 없다. 유수한 양반 집안에서는 적자와 서자를 분명히 밝히는데 「양주 조씨 계산공파보」에는 이런 사실이 전혀 적혀 있지 않다. 지금도 그 집안 후손들은 조병갑을 서자라고 말하지 않는다(근래에 들어서 족보에 적서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 서자라는 사실을 전적으로 배제하지는 않는다).

    둘째, 전창혁이 수세 싸움의 장두가 되었다는 대목이다. 전봉준도 뒷날 공초에서 처음에는 민장과 등소를 통해 억울한 사연을 밝혔다고 했지만, 수세 관련 등소 운동이 벌어졌을 때 전창혁은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다. 하지만 이 사건은 1893년 11월께 가을걷이가 끝난 뒤부터 연속해서 일어났다.

    전창혁은 1893년 6월 다른 등소에서 매 맞아 죽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전봉준이 이듬해 초기 전투에서 상복을 입고 다녔다거나, 그가 전주에서 퇴각한 뒤 아버지의 소상을 6월중에 치렀다는 설들이 이를 증명한다. 전창혁이 심한 매를 맞고 쫓겨나 저 유명한 사발통문의 근원지인 고부 죽산마을에 와서 죽었다는 설에서도 그 시기를 여름이라 했다.

    조병갑을 당시 원성을 사던 세도가 풍양 조씨 출신이나 기생이 낳은 서자로 기록함으로써, 날 때부터 철저하게 나쁜 혈통을 지닌 인물로 만들어 버린 것은 바로 민중의식의 발로였다. 전창혁이 농민의 수장두로 추대됐다며 봉기의 선두에 세운 것 역시 비슷한 의식이 빚어낸 과장이 아닐까.

    3. 의식 있는 가난한 농촌지식인

    전창혁은 출생지부터 정확치 않다. 전봉준의 출생지에까지 그 문제는 이어지는데, 천안 전씨들이 여기저기 집성촌을 이루고 살던 고창군에서도 그 한 마을에 전봉준의 어릴 때 이야기가 전해진다. ‘당촌 전씨’로도 불리는 천안 전씨 20여 호가 모여 살던 고창군 죽림리 당촌마을이 그곳이다. 이들 전씨들은 상인도, 그렇다고 떵떵거리는 양반도 아니었다. 그저 시골의 평민으로 행세하는 신분층이었다. 당촌마을 뒤 언덕에는 전씨들의 조상묘가 지금도 전해지고 있다.

    이 마을 입구에 서당이 있었는데 그 훈장이 바로 전창혁이었다고 하며, 전봉준이 열 살을 조금 넘긴 무렵 일가는 이곳을 떠났다 한다. 훈장으로야 입에 풀칠이나 하는 생활수준이었을 테니 살길을 찾아 정든 고향을 떠났으리라고 쉽게 유추할 수 있다.

    그 뒤 전창혁은 태인 동곡리(지금의 정읍시 산외면)로 가서 살았다는데, 동곡리 지금실은 동학농민군 3대 지도자의 한 사람인 김개남 장군의 생가가 있는 곳이다. 또 태인 황새뫼(지금의 정읍시 감곡면)에서도 살았다는데, 이 마을은 그의 아내와 성씨가 같은 언양 김씨의 집성촌인 금구현 거야마을과 가깝다. 이곳은 동학농민군의 큰 지도자 김덕명의 근거지인 원평과 1킬로미터 거리에 있다. 전봉준은 황새뫼의 건넛마을인 종정마을(지금의 김제군 봉남면)의 서당에 다녔다고 한다. 이밖에 전주로 가서 살았다고도 하는데, 그는 가난하면서 의식 있는 농촌지식인으로 유랑 생활을 거듭하다가 마지막으로 고부의 조소리로 이사했다.

    기록에 따르면 그의 이름도 여러 가지이다. 어느 것이 이름이고 어느 것이 자인지 구분할 필요가 없이 전창혁 말고도 전승록, 전형호, 전기창 등으로 적혀 있기도 하다. 족보 역시 두 종류가 발견되었다. 1886년에 이루어진 「천안 전씨 대동보」에 따르면, 그의 이름은 기창(), 전봉준의 이름은 병호로 기록되어 있는데(「고창문화원장 이기화 발견 보고」), 이 이름의 ‘기’자와 ‘호’자는 바로 이들 전씨의 돌림자이다. 따라서 전창혁은 바로 그의 또 다른 변성명의 하나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개인사에서 가장 중요한 출생지와 이름이 왜 정확하게 전해지지 않는 것일까? 바로 역적의 집안이라 해 그의 후손들이 죽거나 도망가서 생존하지 않거나 당촌마을 전씨들이 떼죽음을 당해 아무도 증언해줄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전봉준의 9촌뻘인 조카며느리가 화를 면해 살아남은 아들에게 족보를 전해주었다고 한다. 이 족보는 고추 꾸러미에 싸여 측간 모퉁이에 감추어져 오다가 근래에 세상 빛을 보게 되었다.(이기화 「전봉준의 고창 태생설에 관한 연구」)

    전창혁은 무엇보다 전봉준의 아버지로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으나, 자신 역시 고부봉기의 직접적 단서를 만들어낸 인물이다. 그의 죽음은 걸출한 농민군 지도자의 아들에 의해 운동의 단계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고, 그의 이름에는 역사적 의미가 더 무겁게 실리게 되었다.


    태인 ‘조규순영세불망비’와 `홍범식애민선정비’
    두 개의 비, 부끄럽거나 아름답거나
    김정현
    기사 게재일 : 2012-12-11 06:00:00
       

     

    ▲ 피향정 비석들.
     굳은 결의와 확약의 맹세 앞에 붙는 말, ‘내 이름을 걸고~’.

     이 말은 온전히 자신을 걸고 결백함을 증명하는 말이며, 온힘을 다해 진력한다는 말이다. 일상의 작은 일조차 ‘이름’을 내거는 일은 허투루 할 수 없는 법. 하물며 이름 석자를 ‘새겨’ 후세에 남기는 일은 말해 무엇할까.

     새겨진 이름에 부끄럽지 않으면 큰 영예일 터. 그러나 그릇된 행실의 이름으로 기억된다면 영원히 치욕이다.

     정읍 태인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전주 방향으로 100여 미터를 가면 활짝 편 날개를 드리운 듯 훤칠한 정자를 만난다. 피향정(披香亭, 보물 제289호)이다. 작은 시골읍 길가에 자리한 솔다방, 팥죽집, 신발점, 풀빵집, 농기구수리점 등 고만고만한 가게를 기웃거리다 맞닥뜨리는 정자의 위용은 좀 생경하다 싶을 만큼 장엄하다.

     정면 5칸 측면 4칸 규모를 지닌 피향정의 위용은 굵은 두리기둥 28개가 열을 맞추어 빚어내는 풍경 덕에 더욱 장중하다. 널찍한 지붕과 높고 즐비하게 들어선 누하주 주춧돌 역시 이 정자를 다시 살피게 한다.

     현판에 ‘湖南第一亭(호남제일정)’이란 쓰인 정자에 올라 넓게 트인 마루에서 사방을 조망해 본다. 그 옛날에는 피향정을 가운데 두고 연꽃을 심은 상연지(上蓮池)와 하연지(下蓮池)가 있었다. 두 곳의 연지에서 뿜어대는 연꽃의 향기 덕에 ‘흡향정’이란 별칭도 따라붙었던 곳. 하지만 일제강점기에 상연지는 메워지고 건물들이 들어서 지금은 흔적조차 찾을 길이 없다. 홀로 남은 하연지 둘레엔 세월을 품어 안은 굵은 노거수들이 옛 풍경을 어렴풋이 물가에 드리우고 있다.

     이곳에 정자를 처음 세운 이는 신라 때 고운(孤雲) 최치원이라 하지만 확인키 어렵고, 이곳을 거쳐 간 많은 이들이 이 정자에 정성을 쏟았다. 광해군 때 현감 이지굉은 기울어져가는 정자를 다시 지었고, 현종 때 현감 박승고는 정자를 다시 넓혔다. 또 숙종 때 현감 유근은 인근 부안 변산에서 아름드리 재목들을 골라 건물을 고쳐 지어 피향정이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했다. 피향정은 고을의 쉼터이자 열린 공론의 장이기도 했다. 해방을 맞아 태인 사람들이 한데 모여들어 그 감격을 함께 누렸던 곳도 이곳의 너른 공터였다.

     

     백성들의 천냥 고혈로 세운 ‘조규순 영세불망비’



     이곳 피향정 옆 담장을 따라 비(碑) 21기가 일렬로 서 있다. 그중 하나가 동학농민혁명의 도화선이 된 고부군수 조병갑이 세운 ‘현감조후규순영세불망비(縣監趙侯奎淳永世不忘碑)’이다.

     당시 ‘나는 새도 떨어뜨린다’는 세도가 풍양조씨의 척족이자 영동군수로 있던 조병갑이 고부로 부임하자마자 제일먼저 달려든 일은 제 아비 조규순의 ‘불망비’를 세우는 일이었다. 조규순이 이곳 태인의 현감을 지낸 일을 내세워 비각을 짓는다는 명목으로 거둬들인 백성들의 혈세는 자그마치 천 냥. 당시 쌀 1섬의 평균 시세가 5냥이고 보면, 쌀 200섬의 돈이었다. 지금의 단위로 환산해봐도 3천만원이 넘는 적지 않은 돈인 셈이다.

     “백성들 고혈을 짜서 세운 비라등마. 자석이 잘못해서 외려 지 애비를 욕 멕인 셈이여. 안하니만 못한 일이 돼불었제.”

     동네 어르신 김용서(77)씨의 일침이다.

     당시 고부를 비롯한 전라도 일대에는 대흉년이 들었다. 겨울을 지내고 보릿고개마저 겹쳐 땅을 잃고 거리를 헤매는 백성들이 풀뿌리와 나무껍질로 끼니를 대신할 무렵이었고 보면 이 돈은 실로 엄청난 금액이었다. 이럴 때 고을의 수령이라면 아사 직전의 군민에게 구휼미를 풀거나 지역 유지를 설득해 곳간을 나누게 하고, 진황지(황무지)를 복구하여 백성의 삶이 제 자리를 찾도록 독려해야 마땅하지만 조병갑은 애당초 그런 일에는 관심이 없었다.

     오히려 그는 첩이 살 집을 짓는 데 백성들을 동원에 사역시키는 등 백성들의 공분을 자아냈다. 개간한 진답(陳畓)에서 땔나무로 쓸 시초(柴草)를 징수하고, 개간하지 않는 진답에서도 시초를 징수했다.

     무엇보다 기존의 멀쩡한 저수지를 부수고 ‘만석보(萬石洑)’를 쌓아 수세(水稅)로 거둬들인 돈이 칠백여 석이었다. 이런 조병갑의 학정은 결국 백성들의 공분을 사 동학농민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조병갑의 탐학을 증거하는 물증의 하나가 조규순 불망비이다. 질 좋은 오석(烏石)을 택해 만든 이 비는 엊그제 새긴 것처럼 너무나도 선명하다. 고부 백성들의 원성이 사무친 탓이었을까. 비 뒷면에 새겨진 조병갑이라는 이름은 다른 글자들과 달리 긁고 쪼아낸 흔적이 뚜렷하다.

     

     백성들의 울음으로 세운 ‘홍범식 애민선정비’



     피향정 뒤에 들어선 비석들의 제일 첫 머리에 서 있는 비는 태인 군수를 지낸 홍범식(洪範植, 1871~1910)의 ‘애민선정비(愛民善政碑)’이다.

     다른 비들과 달리 퉁방울 눈을 뜨고 커다란 입 가득 미소를 머금은 비 받침을 지닌 이 비는 1910년 피향정 곁에 세워졌다. 이 역시 백성들의 손으로 세워졌지만 앞의 비와는 그 동기와 내용이 달랐다.

     일완(一阮) 홍범식은 1888년 진사가 된 이래 내부주사(內部主事)·혜민서참서(惠民署參書)를 역임하였고 1907년 태인군수에 부임하였다. 당시 태인군은 여느 지방보다 아전들의 탐학이 심했다. 아전들이 각종 이권에 개입하고 세금을 사사로이 거둬들이고, 조세를 착복하고 공물을 가로챌 뿐 아니라 무고한 백성들을 ‘의병에 참여했다’ 하여 잡아 가두거나 죽여 ‘전공’을 세우기 바빴다. 또 이들의 재산을 몰수해 자신들의 배를 채우기 바빴다.

     군수로 부임한 홍범식은 이런 아전들의 행패를 벌하고 무고한 백성을 풀어주었으며, 몰수한 재산을 돌려주었다. 이뿐만이 아니었다. 당시 일제침략에 항거하는 의병이 전국에서 봉기하여 치열한 항일전투를 전개하고 있었는데, 의병부대를 진압하려 출동한 일본군 수비대를 설득하여 무고한 백성들이 피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힘썼다.

     군수로 재직하는 동안 고을의 곳간을 풀어 백성들을 먹이고, 자신이 직접 농기구를 들고 황무지를 개간하고 관개수리사업을 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

     1909년 그가 금산군수로 발령을 받자 고을의 백성들은 부임을 늦춰 달라며 전라도 감영에 탄원하고자 했으나 그의 만류로 이루지 못했다. 이에 고을 백성들은 대신 ‘선정비’를 준비하는 것으로 아쉬움을 풀고자 했다. 하지만 그 비가 세워지기도 전에 그의 부음이 먼저 태인에 당도했다.

     금산군수로 재직하던 홍범식에게 1910년 청천벽력과 같은 소식이 들려왔다. 나라가 망한 것이었다. 한일병합조약의 조인 소식을 듣고 그는 “아아 내가 이미 사방 백리의 땅을 지키는 몸이면서도 힘이 없어 나라가 망하는 것을 구하지 못하니 속히 죽는 것만 같지 못하다”고 탄식하였다.

     1910년 8월29일 드디어 한일병합조약이 공포되자 그는 재판소 서기 김지섭에게 유서를 담은 상자를 하나 주어 집으로 돌려보낸 뒤, 관아의 객사로 가 자결을 시도하였으나 사령의 만류로 죽음에 이르지 못했다. 이에 홍범식은 자신을 따라오는 고을 사령에게 모래를 뿌려 눈앞을 흐린 뒤 어디론가 사라지고 말았다. 결국 그의 주검은 뒤뜰 소나무 가지에 목을 맨 채로 발견되었다.

     “기울어진 국운을 바로잡기엔 내 힘이 무력하기 그지없고 망국의 수치와 설움을 감추려니 비분을 금할 수 없어 스스로 순국의 길을 택하지 않을 수 없구나. 피치 못해 가는 길이니 내 아들아 너희들은 어떻게 하던지 조선사람으로 의무와 도리를 다하여 빼앗긴 나라를 기어이 되찾아야 한다. 죽을지언정 친일을 하지 말고 먼 훗날에라도 나를 욕되게 하지 말아라.” 홍범식이 가족에게 남긴 통한의 유언이었다. 이런 그의 유언을 후손들은 끝까지 지켰다.

     동아일보에 <임꺽정(林巨正)전>을 연재해 민초들의 애환을 그리고, 끝까지 항일운동을 펼친 벽초 홍명희(1880~1968)가 그의 아들이었다.

     “태인 사람들이 저 양반 죽었다는 소리를 듣고 장날 일본놈들 몰래 여그서 제사 지내고 그랬다 그래. 돈도 자발적으로 모아서 저 비를 세운 것이라등마. 가난한 백성들 잘 살피고 장한 일 했응께 고마워서 세운 것이지. 힘도 돈도 없어도 영념(기억)할 것은 하는 것이 백성들 아니여. (백성들) 힘든 것 알아준 사람인께 돈 아깝다 않고 세워준 것이여.” 동네 황병식(85) 어르신의 말씀이다.

     한 장소에 놓인 두 개의 비. 생긴 것이야 돌에 이름 새긴 같은 모양이지만 그 뜻과 품은 표정은 사뭇 다르다. 후세에 ‘부끄러운 상’과 ‘잊지 말아야 할 아름다운 상’의 표본으로 오늘도 피향정에서 말없는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

     글 = 김정현 기자/ 사진 = 박갑철 기자
    조규순 영세불망비

    홍범식 애민선정비
    태인 군수를 지낸 홍범식(洪範植, 1871~1910).



    < Copyrights ⓒ 광주드림 & gjdream.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참고자료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SA_6JOc_1843_031412&curSetPos=2&curSPos=0&isEQ=true&kristalSearchArea=B

    과거 및 취재

    조유순(趙猷淳)

    [생원시] 헌종(憲宗) 9년(184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23위(53/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70C720C21CB1808X0
    경원(景遠)
    생년 무진(戊辰) 1808년(순조 8)
    합격연령 36세
    본관 양주(楊州)
    거주지 한성([京])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전력 유학(幼學)
    과목 일의(一疑)
    부모구존 영감하(永感下)
    생부구존 중시하(重侍下)

    [가족사항]

     

    [부]
    [생부]

    성명 : 조진민(趙鎭敏)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전행광주목사(前行光州牧使)

    [안항:형]


    [출전]

    『숭정기원후4계묘식사마방목(崇禎紀元後四癸卯式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일산古6024-45])


    과거 및 취재

    조유순(趙猷淳)

    [음관] 음안(蔭案)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70C720C21CB1808X0
    생년 무진(戊辰) 1808년(순조 8)
    본관 양주(楊州)

    [이력사항]

    관직 정미(丁未) 2월(二月) 경기참(慶基參)
    관직 정미(丁未) 12월(十二月) 개(改)
    관직 무신(戊申) 3월(三月) 상호감조육과(上號監造六果)
    관직 무신(戊申) 9월(九月) 원별(苑別)
    관직 무신(戊申) 10월(十月) 호좌(戶佐)
    관직 기유(己酉) 7월(七月) 궁령(宮令)
    관직 기유(己酉) 8월(八月) 묘령(廟令)
    관직 경술(庚戌1850철1) 3월(三月) 태인(泰仁)
    타과 계묘(癸卯) 진사(進士)

    [가족사항]

     

    [출전]

    『음안(蔭案)』天‧地‧人(장서각[K2-575])


    과거 및 취재

    조유순(趙猷淳)

    [음관] 진신보(搢紳譜)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70C720C21CB1808X0
    경원(景遠)
    생년 정묘(丁卯) 1807년(순조 7)
    본관 양주(楊州)

    [이력사항]

    전력 정미(丁未) 전(殿)
    관직 현감(縣監)

    [가족사항]

     

    [부]

    성명 : 조진강(趙鎭剛)
    기타 : 견상(見上)

    [생부]

    성명 : 조진민(趙鎭敏)
    기타 : 견상(見上)

    [처부]

    성명 : 홍혁(洪爀)
    관직 : 참판(參判)

    [출전]

    『진신보(搢紳譜)』1‧2‧3‧4(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 929.3-Eu55])


    心庵遺稿卷之二十九 원문이미지 
    확대 원래대로 축소
     
    披香亭記 a_307_593a
    [UCI]G001+KR03-KC.121115.D0.kc_mm_a625_av029_01_029: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適人國而叔孫婼。必葺其墻屋。傳舍居而郭有道。敎人知昨宿處。古人所以不苟其行。敬勤以自率。有如此者。繇是觀之。守官者之於署廨臺舘池沼。廢興非小事。君子覘其政焉。裨諶適野之謀。豈潘孟陽飮酒遊山之具而已哉。泰仁。湖南選地。而披香亭者。名亭307_593b也。吾弟元五景遠(庚戌1850철1태인부임)。相繼尹于玆。不佞於此。聞之最熟。而特未獲覽觀爲怦怦。李侯承敬氏(癸丑1853철4九月到任)書來曰。亭屢圮矣。而今新之矣。遂備述文獻所載錄者。遺之。此古人所用心也。况守於所官乎。昔不佞持節海西也。日起居飮食宴處于營中水榭。每夏秋之嬗。萬芙蕖的皪不見地。夜靜月午。幽馥騰鼻。觀未嘗不樂之。而地坎埳無登高望曠之助。深有慨乎造物者之無全功。是亭則據官道左。屛逼隘匝遝之陋。而塽塏通豁。芥荳之容。畢於呈露。侯以名家通儒。讀書劬躬。悉心所職。時與邑父老。觴豆於玆。頌屢豊之慶。而樂與民共之。307_593c顧不佞匏繫陸陸。遊跡之不及遍滋可恨也。嗚呼。是邑吾所未可忘也。而景遠之墓草已宿。其亦奚忍也歟。

    心庵遺稿卷之二十一 원문이미지 
    확대 원래대로 축소
     祭文
    祭季父牧使公文 a_307_436d
    [UCI]G001+KR03-KC.121115.D0.kc_mm_a625_av021_01_009: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維歲次丙申1836헌2十一月庚辰朔二十二日辛丑。從子斗淳。再拜哭告于季父靈帷之前曰。嗚呼。凡人哀感之來。必有感動於心者。或寢于驚。或夢于噩。玆盖忱誠之所由積。精爽之所由發。而於敵以下猶然。惟小子懵然昧然於此。龍灣之涉。馬坂之宿。卽季父在疾之時也。揚㫌乎安市之墟。倚軫乎鳳凰之城。卽季父捐307_437a背之日也。始入中州。縱觀皇帝之居。與士大夫文墨爲娛。酒食相徵。逐日愉快乎駭心怵目之遊。嗚呼。此其月季父窀穸已成矣。人理到此。寧復可言。其去也奉手而承誨。其還也拊膺而無告。小子是役。雖欲不爲邃古大憾。得乎。小子不天餘生。羸又甚病。諸父諸母。連年凋謝。惟叔父季父巋然爲門戶靈光。情理所存。奚啻若就。春陽而承煦。倚厚榦以爲廕。而顧季父生平鮮歡。家室且不全。洛僦海僑。不恒厥居。小子輩之辟咡周還於罇盂襡匜之間者。不盈四三星霜。中間薄宦。直古人爲貧之仕。而屢扞文岡。㱕無一區之307_437b宅。一金之可名。佗傺捿遑。甘自終於林麓荒樾之濱者。嗚呼。命之窮矣。此其苦其尙爲家人所知否。季父爲吾祖考妣最晩生。又善病。小子猶及見吾祖妣之憂寒憫暑。爲季父念不置焉。先人於諸弟列。亦惟季父是恤是芘。每見鬚眉縞然。輒喜曰。吾不料若之能向老耳。嗚呼。丁亥以後。季父其尤無樂於世耳。然年日高氣日充。比歲來。益康強利起居。小子之所蘄于心者。庶幾其爲期爲頤。有嗇前豊後之報。而孰謂弧辰甫週。大化靡停。使小子益無所爲命歟。季姑見背。兪妹繼圽。是皆去年後三數月間事。而小子之獲陞307_437c祿位。從大夫後者。又輳在此時矣。貤榮上及兩世。龍光下燭九幽。嗚呼。哀於誰控。慶於誰報。惟此東岡。卽吾祖先攸基也。新扦雖在洞外。風水未必不臧。藉令更卜。猷淳。有敬有孝。舒堤之害坿害否。其必有諏審而成筭者矣。惟小子無窮之悲。不在於此。一則忱誠淺薄。一則精爽昏塞。在咷而笑。宜戚而豫。寐焉而咍臺。食焉而飽飫。曾不效凡民之匍匐。而一念之有先警也。人理到此。寧復可言。嗚呼慟矣。尙饗。

     

    ^top